
“ 기억하고 있어. ”

@i2tg_cmsn님 커미션
사건의 지평선
Rank S
수색대대
Bastian Schwartzsült
대위
바스티안 슈바르츠슐트
나이트워커 Nightwalker
AGE 36
180cm


◆ 외관
"깊은 밤이 걸어온다."
라고, 그를 묘사하는 사람들은 첫 마디를 꼭 이렇게 시작하고는 했다….
아득한 어둠만큼이나 새카만 머리칼은 올이 억세고 뻣뻣한데, 이는 대충 가장 값싼 비누로만 모든 세안을 대강 해결하는 녀석들의 흔하고 공통된 특징이다. 앞머리는 그저 흘러내리게 두고, 나머지는 군인답게 목덜미에조차 닿지 않을만큼 짧게 깎았다. 어둑한 색채의 피부는 결이 거칠고 쉽게 거스러미가 일어나는 종류의 것으로, 군데군데 긁히고 찢겼다가 아문 흔적이 가득하다. 이 조각들을 그러모아 이어 붙이려는 듯이, 목까지 올라오는 검은 내의에 활동복을 갖추어 입었다. 생채기 가득한, 길고 단단한 손과 단정한 얼굴을 제외하면 맨 피부가 보이는 곳이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한데, 온통 흑색 일색으로 통일됨으로써 초라하다기보다는 무거운 느낌을 준다. 훌쩍 큰 키에 군인으로써는 다소 마른 체격에 속하나, 단단한 어깨나 흔들림없이 핏줄이 서는 손아귀 따위로 보아 어김없이 단련된 몸이다. 유약한 인상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는 뜻이다. 그 지독하고도 어두운 무채색 탓에, 빛 아래 서 있는 그는 마치 세계에 잘못 그어진 새카만 선처럼 보이고는 하는 것이다. 가까이 다가올 적에는 지평선으로부터 어둠이 번지는 것만 같았다. 필연적인 어스름이 밀려오듯이, 깊은 밤이 걸어오듯이….
그의 뒷모습에서 사람들은 쉽게 세월을 읽었다. 곧게 세운 등, 빳빳한 허리나 각 잡힌 자세로부터 적어도 수십년은 복무한 군인의 이미지를 연상했고 분명히 그 뒷모습의 주인이 마흔이나 쉰 정도는 먹었으리라고 지레짐작하고 말았는데, 그의 얼굴을 똑바로 올려다본 사람들이 대체로 '놀랍도록 앳되다'는 평가를 내어놓는 것은 아마도 이 때문일 것이다. 정작 그의 얼굴은, 제법 단정하고 깔끔하기는 했으나, 어딘가 귀엽다거나 아름답다는 평가와는 영 이어지는 구석을 찾기 어려웠다. 흠 잡을 곳 없이 새카만 눈썹은 휘어짐 없이 뻗었고, 곧고 반듯한 콧날이 미끄러지듯 길게 이어진다. 균형잡힌 턱과 얇은 입술을 지나면 자연히 그의 눈동자로 시선이 올라간다. 금빛의 안광, 옛 지구에 쏟아지던 태양의 잔열처럼 다사하게, 혹은 깨끗하게 열화한 그 금빛의 눈동자. 그리 길지는 않으나 퍽 숱이 많아 눈동자 위로 그늘지는 검은 속눈썹, 기이하다. 굳이 표현하자면 신묘한 눈이다. 그에게서 어딘가 한 곳, 그나마 아름다운 것을 꼽자면 그 눈일터였다. 무기질적인 느낌을 주기 쉬우나 의외의 기백이 있다. 생기넘치는 인물은 아니나 분명하게 생을 담고 있다. 다채롭지 못하나 아득하다…. 누군가는 그가 분명히 안드로이드일 것이리라 짐작했다. 그렇지 않다면 적어도, 아주 많은 부분을 기계로 대체하여 부드러운 피와 살보다는 금속과 전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리라고. 또다른 누군가는, 그가 쏟아지던 검은 비를 지나치게 닮아있다고 말했다. 과거의 모든 흔적, 역사가 고인 자국 따위를 쉽게 연상했다.
그러나 그는 인간이다. 고집스러울 정도로 그렇다.


◆ 이능력
사건의 지평선 Event Horizon
이 지평선 너머의 사건은 관측할 수 없으므로.
하나의 점을 지정하고, 그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사건의 지평선을 불러온다. 사건의 지평선이란 시전자가 생성한 구체의 경계를 이르는 것으로, 이 구체는 거대한 중력이 고여 이루어진 블랙홀의 유사체다. 겉으로 보기에는 흑색의 공동空洞처럼 보인다. 거대한 중력이 구체 안에 응집하여 있기 때문에, 주변의 빛이 끌려들어가 구체의 안쪽이 칠흑처럼 어두워 보이는 것이다. 즉 이 구체 안에서는 막대한 힘이 작용하며, 어떠한 물체가 구체에 접촉하면 막대한 기조력으로 인하여 안쪽으로 끌려들어가게 된다. 해당 구체의 기조력은 구체의 질량에 비례하며 구체의 반지름의 세제곱에 반비례하는데, 이는 블랙홀의 특성과 완전히 일치한다. 이 거대한 중력 때문에,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 안으로 끌려들어간 현상은 사건의 지평선 바깥에서 관측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이 구체 안으로 삼켜진 모든 물체와 현상은 외부에 영향을 줄 수 없다. 한번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선 것을 다시 꺼내어 외부로 되돌리는 일 역시 불가능하며, 능력을 거두어들일 경우 삼킨 것은 모두 구체와 함께 사라진다.
해당 구체의 운용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공격적인 방식으로, 파괴하고자 하는 대상의 일부를 안쪽으로 끌어들인 후 중력으로 짓눌러 파괴하는 것이다. 섬세한 타격이 가능하도록 작은 구체들을 형성하여 이용한다. 다른 하나는 방어에 쓰이는 방식으로, 사건의 지평선을 넓게 전개한 후에 공격과 그의 물리적인 타격을 집어삼키는 것이다. 나이트워커 본인은 후자를 보다 편하게 여기는데, 사건의 지평선의 중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세심하게 방향 조절이 필요한 공격보다는 광범위하게 시전하여 공격을 막아내는 것이 더 쉽게 여겨진다는 듯.
사건의 지평선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구체가 가장 먼저 집어삼킬 어떠한 ‘사건’이 필요하다. 사건이란 쉽게 말해 일종의 타임스탬프, 혹은 책갈피 같은 것으로, 나이트워커의 기억 중 하나를 뜻한다. 같은 사건의 지평선을 사용하는 한 나이트워커는 그 지평선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한 기억 하나를 영구하게 보존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흐르더라도 그 순간을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다. 사건의 지평선을 닫고 새로운 구체를 생성할 경우 사건으로 쓰인 기억 완전히 소멸하여 영원히 잊혀진다. 기억의 소모를 망설이지 않으므로, 지평선의 생성 및 소멸에 제약이 없다.

